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걱정과 불안으로 육아가 더 힘들다면? (feat. 아동발달의 기본성격)

by 육아 생각 2023. 11. 7.

육아가 힘들게 느껴지는 데에는 많은 이유들이 있습니다. 도와주는 사람이 없거나 건강이 좋지 않거나 하는 등의 이유들이죠. 그 중에서 '아이가 왜 우는걸까?', '왜 저런 행동을 할까?' 라는 생각을 해보신 적도 있을 것입니다. 육아를 더 힘들게 만드는 것은 이유 모를 아이의 행동에서 오는 걱정과 불안감도 한 몫 하는데요. 이러한 경우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아동발달의 기본성격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아동발달의 기본성격

 

 

발달의 기본성격

이전 글에서 다룬 인간의 발달에 영향을 주는 다섯 가지의 발달 원리가 있다고 말씀드렸습니다. 이 외에도 발달에는 크게 네 가지 기본적인 성격이 발견되고 있는데요.

1. 발달의 기초성

2. 적기성

3. 누적성

4. 불가역성

 

한 가지씩 구체적으로 설명드려볼게요.

 

 

1. 발달의 기초성

아동의 발달에서 경험되는 모든 경험은 성인기 행동의 여러 특성을 결정하는 원인이 됩니다.

"세 살 버릇 여든 간다"

이 말은 곧 서너살 때의 모든 경험이 일생 동안을 특징짓고, 인생의 말기로 보는 팔순까지의 기초를 형성한다는 뜻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아동기의 신체적, 성격적, 정서적, 지적, 도덕적 발달이 어떠한 과정을 거쳐 어떠한 발달현상으로 나타나느냐는 그 영향이 그의 일생을 결정하는 기초가 된다는 말이기도 하죠.

 

이러한 초기발달의 지속적 영향으로 인해, 유아기의 정신적 발달이 향후의 지각, 기억, 인지 등의 발달에 기초가 되어, 초기의 경험으로 이뤄진 발달 결과에서 벗어나기는 대단히 힘든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태어남과 동시에 약 8세까지는 인간지능의 약 80% 정도가 발달되고, 만 6세까지는 인간성격의 기본기틀이 거의 형성된다는 학설은 아동기의 발달을 촉진하거나 저해하는 환경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근거가 되기도 합니다.

 

 

 

2. 발달의 적기성

태어나서 거의 1년간 아이가 말을 하기는커녕 알아듣지도 못하고, 아무것도 모르는 것처럼 보입니다. 그러나 이 기간은 그 아이의 평생에 영향을 주는 언어의 질이 결정되는 대단히 중요한 시기로 밝혀지고 있습니다. 만약 이 시기에 아이에게 언어적 자극이 부족하거나 왜곡된 언어자극이 제공되는 환경이라면, 그 아이는 자라서 평생 동안 언어와 관련된 모든 면에서는 그 어떤 장애를 겪을 수밖에 없다는 학설이 바로, 발달의 적기성 입니다.

 

발달심리학이 밝혀낸 바에 의하면 이러한 시기가 인간발달의 여러 측면에 걸쳐 있는데, 특히 일생의 기초가 형성되는 아동기에 여러 번 존재한다고 했습니다. 이를 '결정적 시기' 또는 '적기'라고도 합니다. 즉 어떤 특정한 발달과업을 성취하는 데는 가장 적절한 시기가 있는데, 그 시기를 놓치면 다음 시기에 보완되기가 어렵다는 것입니다.(불가능 X)

 

만일 선행학습을 고민하는 부모라면, 반드시 아이의 기질과 연령에 따른 발달 사항을 확인 후 결정하는 것이 아이의 성장을 촉진시키는 방법이 될 것입니다.

 

 

 

3. 발달의 누적성

어떤 결손이 생기면 그 결손은 다음 시기의 발달에 좋지 못한 장애가 됩니다. 결과적으로 이 결손은 계속 누적되어 보다 심각한 결손으로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죠.

 

예를 들면, 수유기 때 기본적 신뢰감 또는 불신감이 형성되는데, 이 시기에 엄마와 아이 사이에 불신감이 형성되면, 향후 모든 인간관계에도 계속적으로 누적되고 그 영향이 계속 파급될 수 있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이 결손의 누적성을 하루 빨리 수정/보완해 주는 유아교육이 필요한 것입니다. 물론 많은 경우 교정하기 힘든 것이 그 특징이며, 누적성이라는 발달의 성격 때문에 초기의 발달이 더욱 중요시되고 있습니다.

 

 

 

4. 발달의 불가역성

인간의 특성은 아동기에 그 기초가 형성되고, 발달 또한 급속히 이뤄집니다. 그러므로 발달의 최적기를 놓치게 되면, 그 시기 이후에 이를 수정/보완하기가 매우 힘들게 됩니다. 이를 발달의 불가역성이라고 하죠.

 

인간의 지능은 4세 정도까지 약 50%가 발달되는 것으로 밝혀져 있습니다. 그러나 어떤 이유로 4세까지 적적한 지적 자극이 부족한 환경에서 성장하게 되는 아동은 지적 발달에서 큰 손실을 입고, 그 이후에 아무리 풍요한 지적 환경을 제공한다고 해도 완전회복이 어렵다고 말하는 것이기도 합니다. 또한, 지적 발달에서만 나타나는 발달의 성격이 아닙니다. 신체적, 정서적, 성격적 발달 및 기타 여러 특성의 발달에도 마찬가지로 나타나는 발달의 기본성격이죠.

 

 

 

말씀드린 네 가지 발달의 기본성격을 알아두시면, 아동발달표를 확인하는 데에도 도움이 됩니다. 내 아이의 발달 단계도 체크가 가능하죠. 아동발달표는 검색을 통해 쉽게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각 단계와 영역별 발달단계를 내 아이의 행동과 비교해보시면 어느 단계까지 성장했는지 쉽게 알 수 있으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