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87 문화적 도구론을 강조한 신경심리학자 '알렉산더 루리아' '알렉산더 루리아(Alexander Luria)' 20세기 초반 소비에트 연구자 중 가장 두각을 나타내는 신경심리학자 중 한 명이 '알렉산더 루리아'입니다. 앞서 소개한 '레프 비고츠키'와 함께 협력하여 신경심리학 분야에서 혁신적인 이론과 방법론을 개발했죠. 그의 이론과 실제 한국 가정에서의 적용 사례, 이론의 장점과 단점을 알아보겠습니다. '알렉산더 루리아'의 주요 이론 알렉산더 루리아가 강조한 대표적 이론은 다음과 같습니다. 문화적 도구론 이 이론은 인간의 뇌 구조와 기능은 언어나 문화적 인지 과정을 통해 형성된다는 것을 강조한 이론입니다. 즉, 문화, 언어 및 인지 과정의 중요성을 강조한 것인데요. 이를 통해 교육 방법을 개선하는 데 큰 도움을 주었습니다. 다음과 같은 가정을 제시하기도 했습니다. .. 2023. 12. 18. 유아 애착 이론을 제시한 심리학자, '메리 에인스워스' '메리 에인스워스(Mary Ainsworth)' '메리 에인스워스'는 유아 애착 이론을 제시한 심리학자로, 아이와 부모 간의 상호작용과 유아의 정서적 발달에 관한 연구로 유명합니다. 이 학문은 아이의 애착 관계와 이를 통해 형성되는 신뢰와 안정감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이를 참고하여 주요이론과 실제 가정에서의 사례, 이 이론의 장점, 단점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메리 에인스워스'의 주요 이론 '메리 에인스워스'의 유아 애착 이론은 아이와 부모 간의 상호작용과 애착 관계의 형성에 대한 이론입니다. 이 이론은 주로 아기가 어떻게 부모와의 상호작용에서 안전한 애착 관계를 형성하고, 이를 통해 안정감과 신뢰를 배울 수 있는지를 연구했습니다. 1. 안전한 애착 부모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안전감과 신뢰를 형성.. 2023. 12. 12. 다중지능 이론을 제안한 또 한 명의 학자 '마가렛 미드' '마가렛 미드(Margaret Mead)' '마가렛 미드'는 '하워드 가드너'와 같이 다중지능 이론을 제안한 학자 중 한 명입니다. 어떤 부분이 동일하고 어떤 부분이 다른지 생각하며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마가렛 미드'의 주요 이론 '마가렛 미드'의 이론은 아이들의 다양한 지능을 인식하고, 이를 기반으로 맞춤형 교육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다중지능 이론에 따르면 아이들은 여러 가지 형태의 지능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아래와 같이 설명할 수 있습니다. 1. 언어적-서술적 지능 말하고 쓰는 능력이 뛰어나며, 언어를 통해 아이디어를 표현하는 능력이 강한 아이들입니다. 2. 수리-논리적 지능 문제 해결과 논리적 사고가 뛰어나며, 수학적 개념을 이해하고 활용하는 능력이 있는 아이들입니다. 3. 시각.. 2023. 12. 11. 다중지능 이론과 교육의 혁신을 일궈낸 '하워드 가드너' '하워드 가드너(Howard Gardner)' '하워드 가드너'는 미국 심리학자로, 그는 다중지능 이론을 개발하여 교육 현장에서 혁신적인 변화를 일으켰습니다. 이번에는 그의 주요 이론, 사례, 장점과 단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하워드 가드너'의 주요 이론 '하워드 가드너'의 다중지능 이론은 인간의 지능을 단일한 개념으로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지능의 형태를 인정하는 이론입니다. 이러한 다중지능은 개인마다 발달 수준과 강점이 다르며, 각각의 지능을 발전시킬 수 있는 교육 방법을 제시합니다. 다중지능 이론은 개별 아이의 강점과 발달 가능성을 고려하여 맞춤형 교육을 제공하고, 아이의 다중지능을 유지하며 발전시킬 수 있는 접근을 제안합니다. 주요한 다중지능의 형태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언어지능 언어를 .. 2023. 12. 10. 이전 1 ··· 14 15 16 17 18 19 20 ··· 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