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87

성인기 성숙의 완성 (만 25세~만 40세) 성인기 성숙의 완성 우리가 흔히 '어른이'라고 말하는 성인기의 사람은 미성숙한 삶의 태도가 있습니다. 그렇다면 어떤 사람이 어른 즉, 성숙한 삶의 태도를 가지는 사람이라고 할 수 있을까요? 함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성숙의 개념 성숙을 어떻게 정의하느냐에는 여러 가지 문제가 제기될 수 있습니다. 먼저 개인의 능력에 있어서나 자기표현, 사회적 기대, 윤리 및 각 개인의 독특한 상황, 문화의 다양화에 따라 개인차가 있다는 점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성숙된 행동이나 개인의 성숙을 어떻게 정의하느냐는 주로 인성이론에서 연구되어 왔지만 그 정의는 다양합니다.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에서는 인생 초기에 결정된 성본능에 기초를 두어, 성적인 충도잉나 공격적 충동을 승화된 방법으로 표현할 수 있을 때 성숙하였.. 2024. 4. 13.
성인기 발달과업 (만 25세~만 40세 경) 성인기 성인기는 대략 만 25세 경부터 만 40세 경까지의 시기를 말합니다. 4~5년 정도는 청년기와 중복되지만, 발달상의 특징으로 볼 때 이 시기는 청년기와 중년기의 중간에 위치한 과도기적 성격을 띠고 있습니다. 학교라는 보다 작은 사회에서 보다 큰 사회로 던져지는 때가 된 이 시기에는, 심리적으로 독립된 성인으로서 사회 속에 통합된다는 것은 흥분과 두려움과 기대감을 주지만 성인은 이를 감당해야 합니다. 사회인으로서 자기가 속한 사회의 구조와 크고 작은 사회의 특징과 성격을 이해하고 사회문화와 규범 속에 그 자신이 정상적으로 통합이 되면서, 공민적인 권리와 의무를 수행하게 됩니다. 보다 작은 지역사회는 그 나름의 특징 또는 특수성을 갖게 되며, 작은 사회는 보다 큰 사회 속에 통합되면서 조화를 이루어 .. 2024. 4. 12.
청년기의 정서발달 (만 19세 경~만 30세 경) 청년기의 정서발달 (만 19세 경~만 30세 경) 청년기 정서발달이라고 하면 이런 생각이 드실 수 있습니다. '다 큰 성인이 무슨 발달?' 그러나 인간은 죽을 때까지 성장한다는 말처럼 성인이 된 후에도 발달은 계속합니다. 만 19세~만 30세 경의 청년기에는 정서 발달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청년의 자기중심성 1) 우울증과 반항 만 19세 경~만 30세 경인 청년기에 이르면 자신과 가정, 학교와 사회 등에 대해 골똘히 생각하게 됩니다. 현재만이 아니라 미래에까지, 심지어는 과거에서부터 이런 생각이 출발되기도 합니다. 따라서 자신의 현 존재의 뿌리로서 과거와 이상적인 모습으로서 미래를 생각하기 때문에 이상을 설정하게 되지만, 현재와 이상 간의 모순이 존재함을 알고 번민에 빠지기도 합니다.. 2024. 4. 11.
청년기의 자아정체감 발달단계 (만 19세 경~만 30세 경) 1. 청년기(만 19세 경~만 30세 경)의 자아정체감 발달단계 청년 초기에는 갓 성인이 된 인간이 겪어야 할 커다란 일들이 있습니다. 그중 하나가 자신의 인생을 책임지는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스스로 결정하고 그에 대한 책임이 뒤따르게 되는 것입니다. 그리고 스스로 올바른 결정을 내리기 위해서 우선적으로 해야 하는 것이 있다면 무엇일까요? 맞습니다. 바로 자아정체감을 확립하는 일입니다. 그래야 올바른 결정을 내리거나 혹은 그렇지 못했을 때에도 책임과 실패를 통한 성장을 할 수 있을 테니까요. 또한 실패를 딛고 일어서는 힘도 생길 것입니다. 2. 청년기의 자아정체감 발달 관련 이론 제임스 마샤(James Marcia)라는 학자는 자신의 학위논문에서 청년기의 자아정체감을 에릭 에릭슨의 이론보다 실질적으로.. 2024. 4.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