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86

청년기(만 19세 경~만 30세 경)의 지적 발달 청년기(만 19세 경~만 30세 경)의 지적 발달 청년은 대체로 만 19세 경에부터 만 30세 경까지에 이르는 사람을 뜻합니다. 즉 대학생 시기 전후를 청년기로 보면 적절할 것입니다. 이 시기 청년은 자아정체감의 발달을 비롯한 많은 발달과업을 수행하여 다음에 오는 성인기에 대비하게 됩니다. 1. 청년기의 정신능력 사춘기에 나타는 제2차적 성특징(이하 '2차 성징')은 청년기의 지적 발달에 상당한 변화를 야기시켜, 청년기에 이르면 청년들은 은유와 비유를 이해하게 됩니다. 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문제를 동시에 사고하여 처리할 수 있으며 이상과 가설을 수립할 수 있습니다. 청년기에 이르러 이러한 정신능력의 변화는 양적인 측면과 질절인 측면에서 함께 나타납니다. 양적인 정신능력은 청년기의 지능검사 점수로 대변되.. 2024. 4. 8.
만 13세~만 19세 청소년기 자녀의 사춘기 문제행동 청소년기(만 13세~만 19세) 자녀의 사춘기 문제행동 청소년 시기는 개인의 정체성을 형성하고 사회적 적응력을 발달시키는 중요한 시기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성장과정에서 청소년들은 다양한 문제와 어려움에 직면할 수 있습니다. 특히 청소년의 비행과 학업부진은 그들의 건강한 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요한 문제입니다. 이러한 문제들은 사회적, 심리적 요인으로부터 유발될 수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대책이 필요합니다. 이에 본 보고서에서는 청소년의 비행과 학업부진에 대한 원인과 대응 방안에 대해 탐구하고자 합니다. 함께 문제의 원인과 효과적인 해결책을 모색하여 청소년들이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데 기여하고자 합니다. 1. 청소년의 비행 청소년의 비행은 형.. 2024. 4. 7.
만 13세~만 19세 청소년기 자녀의 정서지능 1. 정서지능의 개념 학교에서의 우등생이 반드시 사회에서 잘 나가는 것은 아니라는 말이 있습니다. 이 말에는 학업성취의 토대가 되는 지적 능력이 사회적 성공을 예측하는 적절한 도구로 사용하는 데 한계가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죠. 살로베이와 메이어는 사회적 성공에 대한 충분한 예측과 설명을 위한 수단으로 정서지능을 제안했습니다. 1990년 살로베이와 메이어에 의해 처음 언급된 정서지능은 학문적 차원에서 개념적 합의가 이루어지지 못한 상황에서 베스트셀러가 된 골만의 책은 타임스에 소개된 EQ를 통해 일반인에게 선풍적인 관심을 불러일으키기도 했습니다. 살로베이와 메이어가 제안한 정서지능은 지능의 한 유형으로 사회적 지능과 유사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사회적 지능이란 학습하는 능력과는 구분되는 능력으로 자신과 타.. 2024. 4. 6.
만 13세~만 19세 청소년기 자녀의 성격 및 사회성 발달과 성교육 만 13세~만 19세 청소년기 자녀의 성격 및 사회성 발달과 성교육 앞서 청소년기에 접어들며 이성에 눈을 뜨기도 하며, 사춘기를 맞이해 신체, 심리적 변화가 큰 시기 중 하나라고 말씀드렸습니다. 이어서 만 13세~만 19세 청소년기 자녀의 성격과 사회성은 어떻게 발달해 가는지, 성교육을 통해 어떤 내용을 알려줘야 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성적 변화와 성격 및 사회성과의 관계 사춘기의 신체적 변화로 나타나는 성적인 변화는 청소년의 성격 및 사회성 발달에 영향을 미칩니다. 이러한 영향관계는 대체로 다음의 네 가지로 설명될 수 있습니다. 첫째, 제2차적 성특징(2차 성징)은 청소년의 성에 대한 태도와 가치관의 형성에 영향을 미칩니다. 즉 성격 및 사회성의 발달에 방향을 결정해 주는 것이 곧 여러 가.. 2024.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