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86

성인기, 가족기능의 수행 성인기 가족기능의 수행 가족의 기능은 학자의 견해에 따라서 다르게 규정되기도 하고, 시대나 사회의 특성에 따라서도 서로 다르게 규정될 수 있습니다. 몇몇의 해외 학자들은 가족은 인구생산, 자녀의 보호와 권리, 경제생활, 자녀의 사회화, 교육, 오락, 애정적 상호작용으로 보고 있지만, 한국 학자들은 보다 세분하여 성적 기능, 생식의 기능, 양육의 기능, 교육의 기능, 경제적 기능, 보호의 기능, 휴식의 기능, 오락의 기능, 종교적 기능으로 보다 현대적 성격을 강조했습니다. 가족의 기능이 시대에 따라서도 달리 요구될 수 있다고 본 어느 학자는 한국 전통사회의 가족 기능은 가계의 계승, 자녀의 사회화, 생산과 소비생활, 가족 외 협력관계 등으로 보았습니다. 지금까지 살펴본 가족기능은 우리나라의 역사적, 전통적.. 2024. 4. 17.
성인기 결혼과 가정형성 성인기 결혼과 가정형성 성인기에 대면하는 발달과업 중 가장 큰 변화를 가져온다고 할 수 있는 것은 단연코 결혼과 가정형성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따라서 성인이 된 후 취업 다음으로 고민하고, 알아봐야 할 것들이 많을 것입니다. 결혼과 가정형성에 대해 알아보고 또 하나의 과업을 수행하시는 데에 도움 되시길 바라겠습니다. 1. 독신생활 대부분의 성인들은 성인기에 돌입하면 결혼을 생각하고 결혼을 준비하지만, 개인에 따라서는 독신생활을 희망할 수도 있습니다. 종교적인 생활에 헌신하기 위해, 또는 전문적으로 하고자 하는 일에 전념하기 위해, 또는 다른 개인사정으로 독신을 원하는 경향은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결혼과 학문, 예술이나 어떤 필생의 사업에 가족을 희생시키기를 꺼리는 이들은 가정을 꾸미지 않고 보다 자유.. 2024. 4. 16.
성인기 취업과 안정 성인기 취업과 안정 대부분의 일이 모두 그러하겠지만 성인기의 취업과 안정이라는 발달과업을 완수하기 위해서 '너 자신을 알라'라는 소크라테스의 말과 같이 성인이 된 자기 자신에 대한 정확한 지식이 필요합니다. 자기 능력, 흥미, 적성은 물론 성격상 결함과 장점까지도 정확히 알고 있다는 것은 그 자신의 진로에 큰 도움이 됩니다. 1. 적성과 취업준비 자기에 대한 지식의 정확도는 자기의 객관화와 관계가 깊습니다. 자기 자신을 얼마나 객관적으로 지각하고 있으며, 타인에게도 얼마나 개방적이냐에 따라 자기상에 대한 정확한 지식을 얻을 수 있습니다. 타인의 평판과 평가를 받아들이고, 자기가 보고 지각하는 자기와의 사이에 어떤 차이가 있는가를 발견하며, 타인과의 대비로써 다시 자기를 알 수도 있습니다. 대체로 전공의 .. 2024. 4. 15.
성인기 성숙의 완성 (만 25세~만 40세) 성인기 성숙의 완성 우리가 흔히 '어른이'라고 말하는 성인기의 사람은 미성숙한 삶의 태도가 있습니다. 그렇다면 어떤 사람이 어른 즉, 성숙한 삶의 태도를 가지는 사람이라고 할 수 있을까요? 함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성숙의 개념 성숙을 어떻게 정의하느냐에는 여러 가지 문제가 제기될 수 있습니다. 먼저 개인의 능력에 있어서나 자기표현, 사회적 기대, 윤리 및 각 개인의 독특한 상황, 문화의 다양화에 따라 개인차가 있다는 점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성숙된 행동이나 개인의 성숙을 어떻게 정의하느냐는 주로 인성이론에서 연구되어 왔지만 그 정의는 다양합니다.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에서는 인생 초기에 결정된 성본능에 기초를 두어, 성적인 충도잉나 공격적 충동을 승화된 방법으로 표현할 수 있을 때 성숙하였.. 2024. 4.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