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87

유아기(만3세~만5세) 자녀의 자아 발달 및 양심 발달 유아기 자녀의 자아 발달 및 양심 발달은 무엇이 중요할까? 다른 분야의 발달에서도 말하지만, 유아기 발달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부모의 양육태도라고 할 수 있습니다. 특히 자아 발달이 급격히 이루어지는 이 시기에는 부모의 한 마디, 사소한 행동 하나가 자녀에게 큰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항상 유의해야 합니다. 부모는 장난이라도, 자녀에게는 자아 발달 및 양심 발달에 있어 큰 영향을 준다는 것을 잊지 마시고 두 가지 발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자아의 발달 1) 개체화된 신체적 자기의식 2세 경의 유아기 자녀는 그 이전에 비해 엄마와의 격리에 심한 불안 반응을 보이지는 않습니다. 그러다가 3~4세가 되면 애착 대상에서 분리될 수 있게 됩니다. 따라서 낯선 사람이나 애착 대상과의 격리에 대해 좀 더 .. 2024. 3. 22.
유아기(만 3세~만 5세) 자녀 정서의 특징 유아기(만 3세~만 5세) 정서의 특징 유아기는 자녀들의 정서적 발달이 빠르게 진행되는 시기로, 감정과 표현에 대한 이해와 인식이 깊어지고 다양화됩니다. 유아기 정서의 특징을 이해하는 것은 자녀의 성장과 발달을 이해하고 지원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또 감정의 다양성과 복잡성이 증가하는 시기로써 공포, 울음, 분노, 질투, 기쁨과 애정 등 다양한 감정을 경험하게 됩니다. 이러한 감정들에 대해 어떠한 특징을 보이는지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공포 3세 말 경쯤 되면, 시각적인 것에 공포를 보이는 유아가 많아집니다. 그래서 개나 고양이 등과 같은 특정의 대상을 두려워하게 되죠. 4세 경에는 공포가 더욱 심해지는데, 이유가 없는 공포심이 심해지는 시기입니다. 그러다가 5세 경이되면 다시 공포 반응이 줄어들.. 2024. 3. 21.
만 3세~만 5세 유아기 자녀, 정서 발달의 일반적 성향 유아기(만 3세~만 5세) 자녀의 정서 발달 유아기의 정서 발달은 아이들이 감정을 이해하고 표현하는 능력이 어떻게 발전하는지를 이해하는 데에 있어 중요한 부분입니다. 일반적으로 유아기 정서 발달에서 어떠한 성향이 나타나는지 한 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정서의 생리적 조건 정서의 생리적 기초는 뇌의 '시상하부'라고 합니다. 대뇌피질은 정서행동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는데, 전두엽이 정서표현을 통제하는 기능을 한다는 사실은 전두엽 제거 수술로써 밝혀졌습니다. 따라서 정서의 발달은 대뇌피질의 분화 및 발달과 시상하부의 생리학적 발달과 관계됩니다. 예를 들어, 분노하면 자율신경계의 작용으로 얼굴빛이 붉어지고 호흡과 맥박이 빨라지게 됩니다. 이러한 생리적인 표출로서 정서상태가 타인에게 전달되기도 하죠. 얼굴의 수의.. 2024. 3. 20.
만 3세~만 5세 유아기 자녀의 보존개념과 수개념 발달 보존 개념과 수개념의 시작 만 3세~만 5세 유아기에 접어드는 자녀들에게는 보존개념과 수개념이 발달하는 모습을 엿볼 수 있습니다. 장 피아제 역시 유아의 보존개념을 이해하는 것으로 인지 발달을 이해하려고 했죠. 부모들에게는 다소 생소한 개념인 보존개념과 수개념 발달에 대해 함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보존 개념 앞서 설명했듯이 피아제는 유아의 보존개념과 인지발달을 연관지어 이해하려고 했습니다. 즉 유아의 지각적 판단이 논리적 판단과 모순되는 실험결과에서 유아의 보존성 개념획득 학습과제를 창안할 수 있었죠. 즉 피아제는 용량이 똑같은 유리그릇 A, B에 똑같은 양의 물을 넣었습니다. 그리고 유아에게 두 용기 A, B의 물이 같은 양인 것을 확인시켰죠. 그러고 나서 이 A, B의 물을 유아가 보는 앞에서 높.. 2024. 3. 19.